탐색
내용으로 건너뛰기
한양대
광장
한양위키
뉴스
HY-in
디렉토리
서울 IAB
한양 IAB
위원소개
활동내역
이달의 IAB위원
뉴스
공지사항
Home - 서울 IAB
1
/
2
[12월의 IAB위원] '메디블록' 이은솔 위원을 만나다!
[11월 이달의 IAB위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오종현 위원을 만나다!
[10월의 IAB 위원] 와우디랩의 대표 최송일 위원을 만나다!
유기나노공학과 박희준·화학공학과 김경학 교수팀, 세계 선도할 차세대 초박막 반도체 기술 개발
친환경 주석 페로브스카이트로 고성능과 장수명 확보 전기·전자공학 분야 최상위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 게재 차세대 반도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유기나노공학과 박희준 교수 연구팀이 화학공학과 김경학 교수 연구팀과 함께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의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규명, 고성능·장수명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film transistor, TFT) 구현에 성공했다.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반도체 물질의 형태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있다. P형은 순수한 반도체에 양공 혹은 정공(전자가 부족한 상태)이 많아지도록 불순물을 첨가한 반도체이다. N형은 순수한 반도체에 전자가 많아지도록 불순물을 첨가한 반도체이다.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특정한 방식으로 결합하고 가공해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 것이다. 저전력 전자기기 및 집적회로의 구현을...
한양대 산학협력단장 겸 RISE 지산학협력단장 강영종 교수 인터뷰
10월 14일 자 「강영종 한양대 산학협력단장 “기술은 실용으로, 창업은 글로벌로…창업·AI·글로벌 인재 키운다”」 기사 10월 14일 자 <전자신문>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장 겸 RISE 지산학협력단장 강영종 화학과 교수와 인터뷰했다. 강 교수는 이번 서울형 라이즈(RISE) 사업에서 한양대의 혁신 방향을 총괄하고 있다. 그는 “이번 라이즈에서 한양대가 생각하는 가장 어려우면서도 중요한 사업은 ‘글로벌 산학협력 선도 사업’”이라며 “한양대만이 할 수 있는 자신 있는 분야”라고 강조했다. 또 “한양대의 핵심 키워드는 실용”이라며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산업 발전을 이끌어온 한양대는 앞으로도 보유한 기술을 사회 전반에 어떻게 연결·활용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AI, 반도체, 바이오뿐 아니라 전통 산업과 첨단산업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방향으로 서울시와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장 겸 RISE 지산학협력단장 강영종 화학과 교수 또한 강...
K-배터리의 미래를 이끄는 상위 2% 연구자, 김동원 교수를 만나다
김동원 화학공학과 교수 ‘세계 상위 2% 연구자’ 선정 차세대 ‘K-배터리’의 심장,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의 길을 열다 실험실 너머 산업 현장으로의 ‘브릿지 연구’ 철학을 듣다 정보 분석 기업 엘스비어(Elsevier)는 지난해 9월 세계 상위 2% 연구자 명단을 발표했다. 세계 상위 2% 연구자 수는 대학이 보유한 세계적 수준의 연구 경쟁력을 갖춘 연구자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양대는 102명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전기차와 스마트폰을 넘어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까지,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는 배터리 기술이 깊게 자리하고 있다. 세계 상위 2% 연구자 명단에 이름을 올린 김동원 화학공학과 교수를 만나 K-배터리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들어봤다. K-배터리 기술력 인정의 증거 ▲ 김동원 화학공학과 교수 ⓒ 김동원 교수 세계 상위 2% 연구자 선정 소감에 대해 김 교수는 “대단한 성과를 낸 것도 아닌데 부끄럽다”고 겸손하게 입을 열었다. 그는...
숨김
hywww-MicroSIT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