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생 창업자를 위한 기회의 장…‘글로벌 챌린저 인 실리콘밸리’
- 8일간 프로그램 진행…‘HYU 글로벌 스타트업 멘토단’ 위촉식도 열려 창업지원단은 창업에 관심 있는 학생 창업자 4명을 대상으로 지난 1일부터 9일까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글로벌 챌린저 인 실리콘밸리’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학생들의 기업가정신 제고 및 글로벌 감각을 갖춘 창의인재 양성, 성공적인 창업 체험 기회 마련 등을 취지로 프로그램을 개최했다. 8일간 진행된 프로그램에서는 글로벌 기업탐방·참가자 챌린지·글로벌 네트워킹 등 양질의 활동이 이어졌다. 학생 창업자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 시장에 대한 경험을 축적하고 창업역량 및 창업 의지를 향상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실리콘밸리 기업을 방문하면서 해외 기업 및 스타트업 문화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특히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본 프로그램이 ‘HYU 글로벌 스타트업 멘토단’(이하 멘토단)의 적극적인 협력을 기반으로 이뤄졌다는 점이다. 실제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멘토단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미국 진출에 대한 동기부여와 발판을 마련했으며, 멘토링 과정 속에서 추후 해외 진출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검증받는 시간을 가졌다. 본 멘토단은 학생 창업자들의 해외 현지 창업 훈련 및 지원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취업 및 창업 관련 특강과 멘토링을 제공한다. 본교 출신 동문 중 기술 기반 창업 경험이 있는 기업가나 글로벌 기업 재직자가 멘토단에 위촉된다. 올해는 34명이 7기 멘토단으로 위촉됐으며, 8월부터 1년간 정규 교과 특강·선배가 들려주는 실리콘밸리 소식 특강·글로벌 스타트업 트렌드 특강·상시 멘토링 ‘멘토스온콜’ 등의 활동을 진행한다. 지난 7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Hyatt House에서는 멘토단의 위촉식도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이기정 한양대학교 총장은 “기업이 해외에 진출하면 퀸텀 점프의 기회를 잡을 수 있어 멘토단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선배들이 후배의 아이디어 사업화와 창업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투자까지 매칭해준다면 더 많은 스타트업이 실리콘밸리에 둥지를 틀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프로그램 2일차 모습. 프로그램 2일차 모습. 프로그램 3일차 모습. 프로그램 3일차 모습. 프로그램 4일차 모습. 프로그램 4일차 모습. 프로그램 5일차 모습. 프로그램 6일차 모습. 프로그램 7일차에는 글로벌 스타트업 멘토단 7기 위촉식이 개최됐다. 출처: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1160
-
- 타 대학이어도 괜찮아, 한양인이 듣고 싶은 과목이라면 모두! [알려줘, 학점 교류 제도]
- 20여 개 대학에서 경험할 수 있는 한양인이 원하는 과목 모든 것 타 대학에 개설된 과목을 수강해 볼 수 있는 학점 교류 제도를 소개한다. 한양대 양 캠퍼스의 교류 대학과 신청 자격, 지원 절차, 수강 범위 등 기본적인 정보를 담았다. 평소 타 대학에 개설된 과목 중 듣고 싶었던 것이 있었다면 학점 교류 제도를 통해 경험해 보자. 출처: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1429
-
- 한양대–네이버클라우드–성동구, AI로 고령 1인 가구 고독사 예방 나선다
- ‘클로바 케어콜을 활용한 뇌건강 AI전화 사업’ 업무협약 체결 한양대LINC3.0 헬스케어 ICC(장용우 부센터장)와 네이버클라우드(김유원 대표) 및 성동구치매안심센터(김희진 센터장)가 산학관 공동연구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한양대가 21일 밝혔다. 공동연구 협약을 통해 세 기관은 기술 교류와 함께 ‘클로바 케어콜을 활용한 뇌건강 AI전화 사업'(이하 AI전화 사업)을 시범사업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AI전화 사업은 고령자 1인 가구의 정서 지원 및 뇌 건강 향상을 위하여 매주 1회 인공지능이 대상자에게 전화를 걸어 대화하는 서비스다. AI전화 사업은 네이버가 자체 개발한 초대규모 인공지능 ‘하이퍼클로바’를 기반으로 이용자와의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건강, 식사, 수면, 운동, 외출 등에 대해 AI가 분석해 일상 돌봄 모니터링을 지원한다. 또한 대상자와의 지난 대화를 기억해 맞춤형 대화를 통한 섬세한 정서 케어가 가능하다. 이번 사업은 고령자 1인 가구의 고독사 예방뿐만 아니라 ‘몸 건강’ 상태 확인과 ‘정서 건강’까지 돌보며 더욱 섬세한 지자체 복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양대LINC3.0 장용우 부센터장은 18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1784사옥에서 개최된 협약식에서 “협력 기관과 함께 금년도 하반기 시범운영을 통해 서비스를 보완하고 2024년도부터 뇌건강 AI전화사업을 확산하여 운영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사진자료] (왼쪽부터) 한양대 LINC3.0 헬스케어 ICC 장용우 부센터장과 김희진 성동구치매안심센터장, 김필수 네이버 대외협력실장이 18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1784사옥에서 개최된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