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양대
  • 광장
  • H hub
  • 한양위키
  • 뉴스
  • HY-in
  • 디렉토리

마이크로사이트

서울 IAB

전체메뉴

  • 한양 IAB
  • 위원소개
  • 활동내역
  • 이달의 IAB위원
  • 뉴스
  • 공지사항

마이크로사이트서울 IAB

전체메뉴

  • 한양 IAB
  • 위원소개
  • 활동내역
  • 이달의 IAB위원
  • 뉴스
  • 공지사항
  • [2월의 IAB위원] '마린액트' CEO, 이강현 위원을 만나다!

    [2월의 IAB위원] '마린액트' CEO, 이강현 위원을 만나다!

  • [1월의 IAB위원] '고범준 법률사무소' 대표 고범준 위원을 만나다!

    [1월의 IAB위원] '고범준 법률사무소' 대표 고범준 위원을 만나다!

  • [12월의 IAB위원] 'Deloitte 안진회계법인'  김재일 Senior Consultant를 만나다!

    [12월의 IAB위원] 'Deloitte 안진회계법인' 김재일 Senior Consultant를 만나다!

  • 한양인의 꿈을 밝힐 현장실습제도, E-WIL 현장실습 설명회 개최
    한양인의 꿈을 밝힐 현장실습제도, E-WIL 현장실습 설명회 개최
    지난 17일부터 현장실습 신청 진행해 ERICA캠퍼스 현장실습 지원센터의 연례행사, 2년 만에 대면으로 E-WIL(ERICA Campus – Work Integrated Learning) 현장실습 설명회가 지난 4일 ERICA캠퍼스 컨퍼런스홀에서 진행됐다. E-WIL 현장실습 설명회는 ERICA캠퍼스 현장실습지원센터의 연례행사로 코로나19로 인하여 3년만에 다시 열리게 되었다. 이날 설명회에는 학생 약 250여 명의 열띤 참여가 이루어졌다. ▲ 지난 4일 ERICA캠퍼스 컨퍼런스홀에서 약 250여 명을 대상으로 E-WIL 현장실습 설명회가 개최됐다. ⓒ 정수빈 기자 E-WIL은 학생들의 취업 능력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운영되는 ERICA캠퍼스의 교육과정을 말한다. 대학 교육 과정에서 습득한 이론을 기초로 일정 기간 전공과 관련된 국내외 기업 및 연구기관 등에서 실무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E-WIL 현장실습 설명회를 기획한 신형상 현장실습지원센터 직원은 “현장실습 학기제 지원 및 이수 학생들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며 “지난해 동계방학에는 199명 학생이 이수했고, 현재 2022년 1학기에는 130명이 현장실습 학기에 참여하고 있다”고 현장실습 참여 현황을 설명했다. ▲ 선택형 4+1학년제는 한양대에만 있는 제도다. 기존의 정규 학기는 유지하고 중간에 현장실습만을 할 수 있는 가상 학기를 추가해 실습을 진행할 수 있다. ⓒ 정수빈 기자 ERICA캠퍼스의 현장실습 학기제는 계절제, 학기제, 선택형 4+1학년제 총 3가지로 나뉜다. 재학 중 현장실습은 횟수와 관계없이 최대 이수학점인 21학점 범위에서 자유롭게 참여가 가능하다. 계절제 현장실습은 단기 과정으로 방학 동안 1~2개월의 실습 기간을 갖는다. 계절제 현장실습은 산합협력영역 3학점으로 인정되고, 졸업학점 수에 포함된다. 신청 대상은 2학기 이상 이수한 학생이자 계절학기 이후 학기 등록이 남은 학생으로 재학생, 휴학생, 편입생, 학업 연장(예정)자다. 학사학위취득유예(예정)자 중에서는 수강 신청을 한 학생이 신청할 수 있다. 학기제 현장실습은 학기 중 3~4개월의 실습 기간을 갖는다. 전공 핵심, 전공 심화, 일반교양, 일반 선택 학점으로 최대 15학점까지 신청할 수 있다. 단, 전공 핵심, 전공 심화 학점은 최대 9학점까지만 신청이 가능하고, 계절제 현장실습과 마찬가지로 졸업학점 수 포함 및 산학협력 영역 이수 학점으로 인정된다. 신청 대상은 계절제 현장실습과 같다. 더불어 휴학생의 경우 실습 학기 복학 예정자여야 하고, 편입생의 경우 2개 학기 이상 이수자여야 하며, 휴학 가능 차수가 1회 이상 남은 학생이어야 한다. 선택형 4+1학년제는 학기 중 등록금 부담 없이 장기간의 직무 경험을 원하는 학생들을 위해 도입했다. 학기제 현장실습과 같이 3~4개월의 실습 기간을 갖는다. 전공 심화 10학점으로 인정되며, 졸업학점 수에서 제외되는 것, 산학협력 영역 이수 학점 인정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다른 제도들과의 차이점이다. 신청 대상은 학기제 현장실습과 동일하다. ▲ E-WIL 현장실습에 지원 및 참여하는 재학생은 증가하는 추세다. ⓒ 정수빈 기자 신 직원은 “오랫동안 ERICA캠퍼스의 현장실습이 많은 대학에 귀감 돼 왔다”며 “그만큼 E-WIL이 질적으로 우수하고 학생들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학생들이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출처: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5976
  • 금융권에 분 데이터 열풍, 미래의 금융인이 준비해야 할 것은?
    금융권에 분 데이터 열풍, 미래의 금융인이 준비해야 할 것은?
    신한은행 디지털 혁신단과 협력해 임직원 데이터 활용 역량 강화 교육 지원 인터넷 및 모바일 전문 은행의 탄생과 ‘마이데이터(mydata)’ 사업으로 금융권의 풍조 변화 “데이터 학습을 통해 금융권 진출을 위한 경쟁력 갖출 필요가 있어” 상경·인문계열 학생들의 주 진출 분야인 금융권에도 데이터 열풍이 불고 있다. 단순히 숫자만이 아닌, 데이터를 다루고 분석하는 능력까지 겸비한 인재가 금융권에서 환영받는다는 것이다. 이미 입사한 지 수년이 지난 은행 임직원들 역시 데이터 지식을 쌓고자 대학과의 협약을 통해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주최, 수강하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양대, 신한은행에 ‘DB1000 데이터 분석 심화 과정’ 교육 지원 신한은행 디지털 혁신단은 직원들의 데이터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한양대와 함께 심화 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 중이다. 이에 따라 지난 4월부터 11월까지 총 4회에 걸쳐 한양대 교수들과 함께 신한은행 임직원을 대상으로 데이터 분석 전문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지난 4월에는 김종우 교수, 차경진(이상 경영학부) 교수가 사흘에 걸쳐 ‘한양대-신한은행 BD1000 데이터 분석 심화 과정(이하 데이터 교육)’을 진행했다. 데이터를 통해 고객 경험을 디자인하고 가치로 연결하는 인사이트를 전하는 강의였다. ▲ 김종우 경영학부 교수는 신한은행에 'DB1000 데이터 분석 심화 과정' 교육을 지원했다. ⓒ 김종우 교수 김 교수는 금융권에서 데이터 지식을 보유한 인재의 수요가 높아지는 이유로 금융권 전반에 걸쳐 이뤄지고 있는 '디지털 혁신'을 꼽았다. 그는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직원들의 머릿속에만 있던 노하우를 가설 검정 형식과 머신러닝 모델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며 “금융권의 디지털 혁신에 따라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고객 경험 창출과 업무 프로세스 혁신이 거듭되는 중이다”고 말했다. 인터넷 및 모바일 뱅킹과 ‘마이데이터(mydata)’의 출범, 은행의 판도를 바꾸다 이러한 금융권의 풍조에는 카카오뱅크와 같은 인터넷 및 모바일 전문 은행의 탄생과 ‘마이데이터(mydata)’ 사업 출범의 영향이 크다. 현재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시중 은행 외에 네이버 페이, 카카오 페이와 같은 온라인 결제 서비스에서도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마이데이터는 개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관리 및 통제하면서, 해당 정보를 신용과 자산관리에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과정을 일컫는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12월에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고, 올 1월부터 전면 시행됐다.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면 한 은행 어플에서 자신의 모든 은행 계좌를 관리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이체도 가능하다. 또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 금융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천받을 수도 있다. 김 교수는 “마이데이터와 같은 새로운 금융 서비스로 인해 각 은행에서는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에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 중이다”며 “이에 따라 데이터를 읽고, 분석해서 가치를 만드는 능력이 금융권에서 전사적으로 요구되고 있다”고 답했다. ▲ 카카오뱅크, 토스 등 온라인을 중심으로 하는 은행이 등장함에 따라 기존 시중 은행에도 디지털 혁신이 일고 있다. ⓒ 카카오뱅크 미래의 금융인을 꿈꾸는 학생들이 학습하거나 준비해야 할 사항은? 김 교수는 금융권 진출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전통적인 금융 이론 지식과 더불어 빅데이터 분석 능력, 데이터 처리 능력, 그리고 머신러닝 지식까지 함께 갖추는 것을 추천했다. 그는 “신한은행과 함께 기존 임직원을 대상으로 데이터 관련 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것이 현 금융권의 시류를 반영하는 증거다”며 “그중 머신러닝 기술은 최근 빠른 속도로 발전 중이고, 과거보다 높은 성능의 기술들이 출현하고 있으므로 지속해서 관심을 두고 학습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최근 금융권에서 화두가 되는 개념으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과 ‘설명 가능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을 강조했다. SQL은 데이터베이스 사용 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하부 언어로, 단순 질의 기능뿐만 아니라 완전한 데이터 정의 기능 및 조작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특히 영어 문장과 비슷한 구문을 갖고 있어 초보자들도 쉽게 사용 가능하다. 설명 가능 인공지능은 AI의 판단 결과에 대한 이유를 인간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 김 교수는 최근 금융권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개념으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과 ‘설명 가능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을 강조했다. ⓒ 픽사베이 학부 내에서 상경·인문계열 학생들이 데이터 지식을 쌓을 수 있는 방식은 다양하다. 한양대에서는 ‘창의적 컴퓨팅’을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여 비전공자 학생들에게도 기초적인 데이터 및 코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더욱 심화된 학습을 원한다면 경영대학 내 개설된 비즈니스 데이터 및 정보시스템 관련 수업을 수강하거나, ‘빅데이터융합전공’ 혹은 ‘인문소프트웨어융합전공’ 등을 다중·부전공함으로써 학습이 가능하다. 출처: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034
  • 4차 산업혁명과 맞춤의약이 만나는 혁신 클러스터, 한양 맞춤의약연구원 'HY-IPT'
    4차 산업혁명과 맞춤의약이 만나는 혁신 클러스터, 한양 맞춤의약연구원 'HY-IPT'
    약학대학 및 5개의 단과대학 교수진들로 이뤄져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 가능 “시대가 요구하는 고급 맞춤의약 인력 배출과 혁신적인 바이오 클러스터로의 성장을 위해 발전을 거듭할 것” 펜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 및 헬스케어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한양대는 지난 2월 ‘한양 맞춤의약연구원(이하 HY-IPT; Hanyang Institute for Precision Therapeutics)’을 개원했다. 생명과학 연구와 바이오헬스산업의 발전을 위해 설립된 ERICA캠퍼스의 HY-IPT는 개원 후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을 거듭하고 있다. HY-IPT는 연구원이 산업체와 지역, 연구자 모두에게 맞춤형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분야에 따른 4개의 센터(맞춤 신약 연구개발센터, 맞춤 면역 의약 연구센터, 디지털 헬스 연구센터, 나노테라노스틱스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각 센터에서는 맞춤의약과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 ERICA캠퍼스 실용영어교육관은 6월부터 리모델링공사를 통하여 맞춤의약연구원 건물로 새단장할 예정이다. 사진은 공사 예정인 맞춤의약연구원 건물 입면도. ⓒ 서혜명 교수 HY-IPT의 초대 원장인 서혜명 분자생명과학과 교수는 "HY-IPT에서는 지역 바이오 제약 회사 및 연구소 유치와 더불어 지자체와의 지역 연계 프로그램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위해 나아갈 예정이다"며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ERICA캠퍼스의 강점인 산학연 협력을 통해 산업체에 전문 인력을 수급하고, 오픈 이노베이션 시스템을 통한 다양한 생명과학자와 기술 자문을 함께 하고자 한다"고 답했다. 오픈 이노베이션 시스템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아이디어와 기술은 외부에서 조달하고, 자원은 내부에서 공급해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방식이다. 맞춤 신약 연구개발센터에서는 암과 노인성 질환을 위한 신약을, 맞춤 면역 의약 연구센터에서는 염증이나 감염성, 환경성 질환을 위한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디지털 헬스 연구센터에서는 바이오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에 기반한 신약 개발 관련 연구를 수행하며 4차 산업혁명과 약학의 공존을 통한 맞춤의약 개발을 위해 노력 중이다. 나노테라노스틱스 연구센터 역시 의약 소재, 약물 전달 및 바이오-화학 센싱(sensing, 신호나 정보를 감지하는 것)과 관련된 기술을 개발 및 발전시키고자 힘쓰고 있다. 서 교수는 “지속 가능하고 개방적인 융합을 실현하기 위한 4개의 맞춤형 융합 클러스터 연구센터를 통해 앞으로 HY-IPT에서 세계적인 맞춤의약 연구를 선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서혜명 분자생명과학과 교수는 초대 원장으로서 HY-IPT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거듭하고 있다. ⓒ 서혜명 교수 HY-IPT의 대표적인 특징은 여러 단과대학의 교수진으로 구성돼있다는 점이다. 약학대학 외에도 과학기술융합대학, 공학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예체능대학 교수진 40여 명이 HY-IPT에 소속돼있다. 서 교수는 “맞춤의약은 각 개인의 질병을 맞춤으로 치료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며 “획일화된 분야를 넘어서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를 통한 스마트 질병 진단과 더불어 치료 기술에 대한 전주기적 연구를 실현화하기 위해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을 모시게 됐다”고 답했다. 현재 HY-IPT는 동아에스티팜, 현대약품, 휴온스, NKCL바이오그룹 등 여러 유관 기관과 업무 협약을 체결한 상태다. 협약 체결 이후 기업과 함께 맞춤 의약에 대한 정보 교류뿐 아니라 연구개발 인력 양성,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논의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서 교수는 “초대 원장으로서 여러 교수들과 함께 HY-IPT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잡고, 그것을 현실화할 수 있게 노력하고 있다”며 “물적, 지적 인프라 구축 외에도 집단 및 융합 연구를 통한 시너지를 내기 위해 다양한 산업체와의 협약뿐만 아니라 국가의 지원을 통한 양질의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대형 국책 과제를 수주하는 등 다방면으로 계속 힘쓸 예정이다”고 말했다. ▲ HY-IPT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춘 고급 맞춤의약 전문 인력 배출과 더불어 혁신적인 바이오 클러스터로서의 성장이라는 비전을 지니고 있다. ⓒ 픽사베이 서 교수는 HY-IPT의 시대적 사명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속 새로운 연구환경 플랫폼 구축을 꼽았다. 그는 “한양대가 바이오산업을 미래 전략 분야로 책정하고, 관련 분야 연구와 교육의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해준 덕분에 시대적 사명을 실천하기 위한 HY-IPT의 시작을 성공적으로 알릴 수 있었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발전 전략에 따라 시대가 요구하는 고급 인력 배출과 연구자, 산업체, 지역이 상생하는 혁신적인 바이오 클러스터로의 성장이라는 목표를 이뤄내기 위해 지속해서 발전을 거듭하겠다”고 목표를 밝혔다.
  • [2022] 이달의 IAB위원_5월

뉴스

  • 한양인의 꿈을 밝힐 현장실습제도, E-WIL 현장실습 설명회 개최
  • 금융권에 분 데이터 열풍, 미래의 금융인이 준비해야 할 것은?
  • 4차 산업혁명과 맞춤의약이 만나는 혁신 클러스터, 한양 맞춤의약연구원 'HY-IPT'
  • 한양대 박물관, 2022년 국고지원사업 5개 선정
  • 한양대-포스코케미칼, 배터리소재 인재 양성 협력
  • 허준영 교수, 2022 대한혈액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 수상
  • 희소병 딛고 입학한 영문학과 신입생 민용준 학생 소개돼
  • 한양대, 2021 자랑스러운 한양인상 수상자 3명 선정
  • 한양대학교, 2022 THE 세계 대학 영향력 순위 92위
  • 한양대 兩 캠퍼스, LINC 3.0 사업에 선정
  • 유형별 검색
  • Up
  • 기본 문서
  • Contract
  • Marketing Banner
  • Online Training
  • Sales Presentation
    • 아이콘
    • 자세히
    • 목록
  • 액션
    • 체크아웃을 취소
    • 체크인
    • 체크아웃
    • 이동
    • 휴지통으로 이동
    • 삭제
  • 정렬
    • 제목
    • 생성 일자
    • 수정 일자
    • 다운로드
    • 사이즈
Liferay 동기화 팁 보기
  • 홈
Liferay Sync를 활용하여 오프라인 파일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 데스크톱에서 접속
파일 및 폴더에 권한이 있는 사용자는 데스크톱 탐색기를 통해 관리가 가능합니다. 자세히 보기(영문)

IAB
  • 데스크톱에서 접속
파일 및 폴더에 권한이 있는 사용자는 데스크톱 탐색기를 통해 관리가 가능합니다. 자세히 보기(영문)

ckeditor
  • 데스크톱에서 접속
파일 및 폴더에 권한이 있는 사용자는 데스크톱 탐색기를 통해 관리가 가능합니다. 자세히 보기(영문)

학과이미지
{title}
{title}
대학 홈페이지
  • 서울캠퍼스
  • 공과대학
  • 의과대학
  • 인문과학대학
  • 사회과학대학
  • 자연과학대학
  • 정책과학대학
  • 법과대학
  • 경제금융대학
  • 경영대학
  • 사범대학
  • 생활과학대학
  • 음악대학
  • 예술·체육대학
  • 국제학부
  • 간호학부
  • 산업융합학부
  • ERICA
  • 공학대학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약학대학
  • 과학기술융합대학
  • 국제문화대학
  • 언론정보대학
  • 경상대학
  • 디자인대학
  • 예체능대학
대학원 홈페이지
  • 대학원
  • 일반대학원
  • 전문대학원
  • 도시대학원
  • 국제학대학원
  • 경영전문대학원
  • 법학전문대학원
  •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특수대학원
  • 공학대학원
  • 공공정책대학원
  •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대학원
  • 언론정보대학원
  • 국제관광대학원
  • 임상간호대학원
  • 부동산융합대학원
  • 보건대학원
  • 융합산업대학원
  • 개인정보처리방침
  • 대학정보공시
  • 예산공고
  • 결산공고
  • 전자구매
  • 전화번호안내
  • 통합서비스센터
  • 증명발급 서울
  • 증명발급 ERICA

서울캠퍼스 : 04763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대표전화번호 : 02-2220-0114

  • 한양대학교 페이스북 바로가기
  • 한양대학교 유튜브 바로가기
  • 한양대학교 블로그 바로가기
  • 한양대학교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ERICA캠퍼스 : 15588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대표전화번호 : 031-400-5114

  • 한양대학교 페이스북 바로가기
  • 한양대학교 유튜브 바로가기
  • 한양대학교 블로그 바로가기
  • 한양대학교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COPYRIGHT ⓒ 2016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